참고/컴공부
[스크랩] html의 구성
한스 강
2008. 12. 7. 22:29
웹 페이지를 만들기위해 html이란 것을 이용해야 한다.
요즘에는 무료웹계정을 주는 곳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많은 곳에서 자신만의 웹페이지를 만들고자 한다.
단순히 사진이나 글을 등록하는 정도가 아니라 내가 직접 만드는 웹페이지를 공부해보자.
html 문서는 html문법을 이용해서 만들어진다.
html전용 편집기가 있지만 전용 편집기가 아니라도 텍스트 에디터만으로도 만들수있다.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메모장이 있는데 그 메모장을 이용해서도 만들수가 있다.
메모장을 열고 다음과 같이 입력을 해본다.

그리고 저장을 한다.


새폴더를 만들고 화일 이름을 입력한후 저장을 클릭하여 저장한다.

저장후 해당 폴더게 가면 저장된 화일을 볼수 있다.
웹브라우저로 확인을 하기위해서 확장자를 바꾸어야 한다. 메모장은 기본적으로 텍스트화일을 저장하기때문에
확장자가 txt로 되어 있다. 이것을 htm으로 바꾸면 된다.
만약 확장자가 파일이름과 같이 보이지 않는다면

도구 폴더 옵션으로 가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의 체크를 해제시키고 확인을 클릭하면
확장자를 확인하고 변경시킬수 있다.

확장자를 변경하면 확장자를 변경할것인지 확인하는 메세지 박스가 나온다. 여기서 예를 클릭하면 확장자가 바뀐다.

확장자가 바뀌면서 아이콘도 역시 바뀌었다.

이런 결과를 확인할수 있다.
요즘에는 무료웹계정을 주는 곳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많은 곳에서 자신만의 웹페이지를 만들고자 한다.
단순히 사진이나 글을 등록하는 정도가 아니라 내가 직접 만드는 웹페이지를 공부해보자.
html 문서는 html문법을 이용해서 만들어진다.
html전용 편집기가 있지만 전용 편집기가 아니라도 텍스트 에디터만으로도 만들수있다.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메모장이 있는데 그 메모장을 이용해서도 만들수가 있다.
메모장을 열고 다음과 같이 입력을 해본다.

그리고 저장을 한다.


새폴더를 만들고 화일 이름을 입력한후 저장을 클릭하여 저장한다.

저장후 해당 폴더게 가면 저장된 화일을 볼수 있다.
웹브라우저로 확인을 하기위해서 확장자를 바꾸어야 한다. 메모장은 기본적으로 텍스트화일을 저장하기때문에
확장자가 txt로 되어 있다. 이것을 htm으로 바꾸면 된다.
만약 확장자가 파일이름과 같이 보이지 않는다면

도구 폴더 옵션으로 가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의 체크를 해제시키고 확인을 클릭하면
확장자를 확인하고 변경시킬수 있다.

확장자를 변경하면 확장자를 변경할것인지 확인하는 메세지 박스가 나온다. 여기서 예를 클릭하면 확장자가 바뀐다.

확장자가 바뀌면서 아이콘도 역시 바뀌었다.

이런 결과를 확인할수 있다.
출처 : 기황후 추모
글쓴이 : 자유와함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