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잡동사니

老-老 상담가

한스 강 2009. 8. 12. 22:11

실버세대 희망 Job기] (6) 老-老 상담가

서울신문 | 입력 2009.07.18 02:36

 



[서울신문]노인자살·학대·사기 등의 '노인 문제'는 심심치 않게 매스컴을 장식한다. 2008통계청 '자살에 대한 충동 및 이유'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7.6%가 자살 충동을 느낀다고 답했다. 전연령대 평균이 7.2%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 자살자 수는 4400여명에 달한다.

노인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 상담가'는 일종의 구원투수다. ·노 상담가는 전문상담교육을 받은 노인들이 다른 노인들을 상담해주는 직업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노·노 상담가는 '·노케어'의 한 분야로 국내에 도입됐다. ·노케어는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2007년 정부가 노인일자리 30만개 창출을 약속하면서 시작됐다.

노인들도 다른 세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고민을 갖고 있다. 경제적 어려움, 이성문제, 질병, 직장문제, 외로움, 가정불화, 친구와의 불화 등이 주를 이룬다. 그 중에 빈곤, 질병, 외로움 등에 대한 고민은 다른 세대보다 더 높은 편이다.

문제는 이러한 고민을 나눌 곳이 없다는 것이다. 집안의 '어른' 5080세대가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고민을 털어놓기는 쉽지 않다. 친구와 동료의 범위도 한정돼 있다. 단순한 고민을 넘어선 경제, 건강 관련 문제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노·노 상담가는 또래가 고민을 상담해 준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부담을 덜어준다. 노인들의 마음을 노인들이 가장 잘 아는 것은 물론이다.

서울 강동구 노인복지팀 김정순씨는 "특히 가족문제는 또래들끼리 얘기하면서 스트레스를 푸는 경우가 많다."면서 "고부갈등, 자식과의 갈등 문제 등 젊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느끼지 못하는 부분을 노인들이 채워준다."고 말했다.

노·노 상담가는 노인의 다양한 문제를 상담한다. 경제적 빈곤·가족 불화가 주요 분야다. 최근 활동의 폭이 넓어지면서 한 분야만 전담하는 전문 상담가도 생겨났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 상담가이다. 사회적으로 노인의 성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도 드러내놓고 말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성 상담을 받는 노인들은 대부분 '친구에게도 말하기 쉽지 않은 문제를 속 시원하게 털어놓을 수 있었다.'고 말한다.

노인들의 성 고민은 의외로 다양하다. ·노 상담가의 성 상담 일지를 살펴보면 '부인이 성관계를 거부한다.' '성 욕구를 해소할 방법이 없다.' 등의 내용이 심심치 않게 적혀 있다.

경기시흥시니어클럽에선 이같은 노인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성교육의 경우 별도로 전문 교육을 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현재 서울 강동구, 경기 김포·화성·시흥시 등 다양한 지자체에서 모집·운영 중이다. ·노 상담가가 되기 위해선 먼저 전문상담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지자체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10회 안팎의 강의를 듣는다.

화성시 사회위생과 최미자씨는 "노인 문제나 노인 복지, 노인 심리 등 기본적인 과목을 위주로 교육한다."고 설명했다. 최씨는 "최근 노인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노인 학대예방과 성·우울·자살 예방 등으로 교육도 전문화됐다."면서 "전문 상담가 못지않게 다들 열정이 넘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상담 방법, 상담자의 자세 등 효율적인 상담을 위한 교육도 필수다.

노·노 상담가는 보통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복지관, 노인센터 등에서 활동한다. 경기 화성시의 경우 4개 센터에서 21명의 노·노 상담가가 맹활약 중이다. 시흥시의 경우도 비슷한 규모로 운영하고 있다.

보수는 월 20만원 정도로 많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일주일에 하루나 이틀, 한번에 5~6시간만 일하면 되기 때문에 체력적인 부담은 크지 않다.

가장 큰 장점은 상담가로 활동하는 노인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점이다. 피상담자의 당면한 문제를 들어주고 해결해 준다는 것이 이 직업의 매력이다. 체력적으로도 무리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의 5080 직업들이 성별 편향이 있지만 노·노 상담가는 성별에 구애 받지 않는다.

경기시흥시니어클럽 조미라씨는 "다양한 일자리 사업을 하고 있지만 노·노 상담가는 신청자가 굉장히 많은 편"이라면서 "어르신들이 웬만한 복지사보다 노·노 상담가가 훨씬 낫다고 평한다."고 말했다.

직업적 특성상 '봉사하는 마음으로' 피상담자를 대하는 마음가짐은 필수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끈기 있게 들어주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조씨는 "친구의 고민을 해결해 준다고 생각하는 것이야말로 훌륭한 노·노 상담가가 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