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선인장 엑기스 '아가베 시럽'
최근 한 채식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했다는 주부 김혜연(42•서초구 잠원동)씨. 뷔페임에도 불구하고 먹은 후 몸이 한결 가볍다는 걸 느꼈다. 이후 그는 집에서 천연 조미료와 감미료로 그때 먹은 음식을 따라 만들어보거나 유기농 식재료 전문점을 자주 들르는 유기농 매니아다.
채식주의자와 웰빙 라이프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이처럼 영양 강화뿐만 아니라 유기농 원료나 천연감미료를 사용하는 등 있는 그대로 자연의 신선함을 먹음으로써 건강을 키운다는 인식이 매우 강하다.
김씨처럼 유기농 식재료에 음식을 요리할 때 설탕 대신 천연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멕시코 선인장인 '아가베' 시럽을 사용하는 주부들이 늘고 있다. 칼로리를 낮추고 건강도 챙겨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20, 30대 여성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아가베 시럽은 설탕보다 당도가 30%가량 높지만 혈당상승지수(GI)는 설탕의 3분의1에 불과한 감미료다. GI란 빈속에 음식을 먹은 다음 30분 뒤 혈당치의 상승률을 산출한 수치. 50g의 포도당을 100으로 잡고 있다. 혈당수치가 낮은 음식은 천천히 소화 흡수된다. 그 결과 인슐린 분비가 적어 당뇨병 발병 위험이 줄어든다. 정제된 설탕은 GI가 68인 반면 아가베 시럽은 11∼19다. 평강 한의원 이환용 원장은 "아가베 시럽은 당뇨병을 비롯해 혈당수치가 높아 고민하는 사람에게 이상적인 감미료"라고 말했다. 설탕과 벌꿀 대용으로 제격이라는 말도 있다. 과당과 함께 철분•칼슘•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도 풍부하다.
아가베는 '선인장의 나라' 멕시코에서만 생산되고 있다. 선인장 가운데 잎새가 용의 혀와 닮았다는 용설란(아가베)의 밑둥에 달린 열매에서 짠 액체. 커다란 수박 크기의 열매는 파인애플처럼 생긴 껍질에 쌓여있다. 수액은 약간의 갈색을 띠며 매우 달콤하다. 수액에 열을 가해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 것이 아가베 시럽이다. 아가베 시럽을 고온에서 발효해 만든 것이 멕시코의 대표적인 술 '테킬라(Tequila)'이다.
용설란은 멕시코 사람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식물이다. 오랜 옛날 400개의 가슴을 가진 여신 마게이가 지상으로 내려와 인간에게 기쁨을 주자 그녀의 할머니신이 그녀를 죽여버렸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이에 창조의 신 케찰코아틀(깃털달린 뱀)이 죽은 그녀를 불쌍히 여겨 뼈를 땅에 묻자 아가베가 자라났다. 원주민들은 이 나무의 수액을 마시며 나무를 신성시했다고 한다.
요즘 자연주의의 바람이 불면서 덩달아 아가베 시럽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가정에선 설탕 대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커피나 홍차 등에도 설탕 대신 타서 먹는다. 특히 아가베 시럽은 찬물에도 잘 녹는다. 일본의 과자 제조회사들도 아가베 시럽을 감미료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요리전문가들 사이에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요리연구가 우영희씨는 "아가베 시럽은 메이플시럽과 용도가 거의 비슷하다."며 "음식에 사용해봤더니 음식의 신맛과 짠 맛을 없애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가베 시럽은 향이 없어 음식 고유의 맛과 향을 한층 더 살려줬다."고 설명했다.
'2000원으로 밥상차리기'의 저자 김용환씨는 "아가베 시럽은 물에 잘 녹아 커피나 요구르트 등에 써도 좋고, 적당한 점도(粘度)가 있어 조림요리에 좋다."고 예찬했다. 그는 "꿀은 향이 강해 음식 고유의 맛을 살리지 못하지만 아가베 시럽은 요리에 사용하기 좋다."고 말했다.
'참고 > 건강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식품 들 (0) | 2010.09.23 |
---|---|
순간적으로 뇌졸증 증세 알아보는 법 (0) | 2010.09.23 |
초란 만드는 방법 (0) | 2010.05.08 |
[스크랩] 강황(울금)의 효능효과~ (0) | 2009.12.16 |
노인은 왜 잘 넘어지나 (0) | 2009.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