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모음/해송(海松 )

[스크랩] 심월상조(心月相照).

한스 강 2008. 8. 25. 15:58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심월상조(心月相照).

 

자정을 훨씬 넘겨서도 잠이 안 와서 백야드엘 나갔다.

무심코 올려 다 본 하늘에 보름달이 멀찍이 떠 있다.

 

“이제 한달 정도 지나면 한국엔 추석이고나..”

 

생각을 해 보니

언제부터인지 칠흑같은 밤을 본지도 오래고

대낮같은 달밤을 본지도 오래다.

 

가로등이나 집들에서 새어 나온 불빛들이 달빛을 삼켜 버렸고

살면서 달을 쳐다볼 그런 여유도 없었나 보다.

 

몇 년 전에 텍사스의 어느 도시에서는 ‘우주의 날’로 정하여

봄과 가을에 하루는 일몰부터 자정까지 가로등이나

집안의 전기 불을 켜지 않는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참 멋진 발상이라 생각을 했었다.

어렸을 때, 

시골에서 여름밤에 마당에 자리를 깔고 누워서 하늘을 보면

금방이라도 쏟아질 것 같은 무수한 별들이 생각 났기 때문이다.

 

옛날 사람들은 음풍농월(吟風弄月)을 즐겼다는데 

음풍농월은 바람을 음미하며 달을 희롱한다는 뜻이다.

 

달은,

하늘에 두둥실 떠있는 천중월(天中月), 

산에 걸려있는 산중월(山中月), 

잔잔한 호수나 강물에 떠있는 수중월(水中月),

그러나 이들보다도 더 치는 것은

마음속에 있다는 심중월(心中月)이라 한다.

 

마음속에 있는 달을 볼 수 있다면

구만리 서로 떨어져 있어도

심월(心月)이 서로 비친다(相照)고 한다.

 

그러나 어찌하나,

중천(中天)의 달을 보면서도 옛날의 그 감흥이 안 이는데

어디에서 그 심월(心月)을 찾으랴.

 

             

                Luna Llena (滿月) /  Los Tres Diamantes.

 

 

 

 

출처 : 아름다운 60대
글쓴이 : 해송(海松) 원글보기
메모 :